All posts filed under: 백대비경

60호 백대비경2

초록바람, 청보리에 서면 눈물이 난다

  땅을 헤집고 나온 새순햇노란색에서 연두색 그리고 다시 햇살과 비 맞으며 초록으로 여물어 가는 중이다. 그 위에 떨어지는 농부의 땀 청보리밭에 서면 눈물이 난다. 돌덩이를 헤집어 찾아낸 한모금의 땅 푸슬푸슬 바스러지는 흙덩이를 움켜쥐었다. 모진 나날의 시름에 헐떡이며 살아온 지난 세월 엄동설한에도 바다 속으로 자맥질 하러 들어가던 설움 어미를 기다리는 새끼들을 떠올리며 길게길게 숨을 내쉬었다. 청보리밭에 […]

44호 청보리와 돌담

청보리와 돌담

  청보리와 돌담   긴긴 겨울을 지난 대지는 초록을 머금기 시작한다. 산과 들에 새순이 돋기 시작하는 초봄, 탱글탱글 영글어가는 청보리밭이 싱그럽다. 겨우내 움츠렸던 마음이 기지개를 펴고 추위에 얼어붙었던 마음이 봄의 기운을 들이마신다. 수 천 년의 세월을 품어낸 제주의 화산석이 햇살아래 구멍 숭숭 뚫린 제 모습을 드러나고 그 너머의 청보리밭은 바다건너 날아온 육지의 봄바람 소식에 귀를 […]

벚꽃001

눈이 꽃이 되었다. “벚꽃”

눈이 꽃이 되었다. “벚꽃” 지난겨울은 눈이 많았다. 바람에 휘둘리며 가로로 내리던 눈은 대지를 덮더니 땅속 깊이 스며들었다. 흙은 눈을 물기로 받아들인다. 시나브로 봄이 시작되었다. 입술 젖은 새싹이 마신 물은 지난 겨울의 눈이겠지   사람이 지난 추억을 그리워하듯이 꽃과 나무들도 그리하는 것은 아닐까. 벚나무 위에 흰 눈꽃이 내려앉았다. 춥고 고통스러웠던 날 조차 자신의 존재가치를 일깨우는 시간들 […]

삼나무길숲(08)안개01

몽환의 숲

이슬비가 오던 날 어느 순간 숲은 안개에 젖는다. 숲이 신비의 베일을 쓰고 있다 풀, 나무, 흙, 동물들이 몽환에 휩싸여 있다. 은은한 초록빛, 더 내려앉은 하늘 안개가 낀 날에는 자연의 속삭임이 가만가만 들린다. 귀를 쫑긋 세우고 그들의 은밀한 대화에 귀를 기울인다. 오늘 누구네 나뭇잎은 키가 조금 자랐으며 삼나무 뿌리는 길어져 천남성 뿌리와 손끝을 스치웠단다. 생명의 숲 […]

백대비경-3 800

바람과 청보리와 더불어 옹기종기…

  제주사람들은 더불어 사는 법을 안다. 청보리 물결 너머 언뜻 보이는 지붕들. 키가 참 작다. 바람에 저항하지 않고 순응하며 살아간다. 제 몸을 수그리고 집을 낮춰 사는 그들 삶의 방식이다. 4월 무렵 가파도에 청보리가 익어가고 잇달아 제주 본토의 청보리밭도 여물어간다. 바람소리가 들린다. 일렁이는 파도가 어찌 바다에만 있으랴. 청보리밭을 뒤흔드는 바람소리는 파도소리를 닮았다. 어떤 날은 참을 수 […]

백대비경2-2

서럽지 않은 꽃은 없다

  나는 꽃이거늘 그들은 검질이라 부른다. 잡초라 밟히고 뭉개지는 설움을 안다. 내 이름은 분홍빛 ‘등심붓꽃’이고 옆 친구의 이름은 노란색 ‘양지꽃’이다. 예뻐서 꺾이는 것은 꽃이고 밉다고 잘리는 존재는 잡초인가. 둘 다 서럽기는 매한가지다.   한 떨기로 피어나고 사라지는 짧은 생이다. 사람에 비하면 그렇다고 느껴진다. 오백 년을 사는 나무를 떠올리면 사람의 삶 또한 짧은데 다들 자기 앞가림하기도 […]

44호 백대비경2

유화를 그리는 제주의 봄

유화를 그리는 제주의 봄   유채(油菜)를 유채(油彩)로 그린다. 특이하게 같은 기름油를 쓴다. 유채꽃에서 기름을 짜냈다고 하더니, 캔버스에 그려낸 유화의 색감처럼 진한 노랑빛을 띤다. 그래서 제주의 봄이 멋스럽다. 노란 유채가 바람이라는 붓에 이리저리 흔들리며 그려낸 유화 한 폭이다. 제주의 봄은…… 웅대한 달 분화구를 지닌 다랑쉬의 고고한 자태와 그 옆의 알오름에서 느껴지는 친근함, 나무 세 그루는 돌담 […]

돌담

제주의 돌담과 담쟁이덩굴

  담장에 자란다 하여 담쟁이덩굴 수백 년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있는 듯 오래된 유럽의 고성에 치달으며 자란 담쟁이덩굴은 깊은 인상을 남겼다. 제주의 흑룡만리 돌담에서 古城의 담을 본다. 길지만 거대하게 높지는 않다. 나지막한 담에 뻗으며 자란 담쟁이덩굴이 보는 이에게 정을 안긴다. 한 치의 빈틈도 없다면 개구리발톱처럼 생긴 담쟁이덩굴의 손과 발이 어디를 짚어야 할 지 몰라 얼마나 […]

42호 백대비경-1

馬… 살지는 이어도의 가을

    馬… 살지는 이어도의 가을 100년 몽고의 흔적이 말 궁둥이에 남았는가.   역사란 섞이고, 묻히고, 흘러가 전혀 의도하지 않은 잔해를 남긴다. 제주땅은 그 옛날을 잊지 않고 있으나 과연 사람들은 어떠할까. 이어도의 가을은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제주에서 안빈낙도(安貧樂道)하며 사는 투실투실 살 오른 馬들의 삶의 여유로움이다. 유유자적(悠悠自適) 살 수 없는 수많은 사람들이 허허한 가슴을 어루만지는 이어도의 […]

55호 백대비경1

성산은 제주섬의 화룡점정이다.

  제주에 성산일출봉이 없었다면 얼마나 심심했을까. 제주도는 한라산이 하나의 산체를 이루는 거대한 섬이다. 화산폭발로 흘러나온 용암쇄설물이 백록담에서 중산간까지는 줄달음질치다가 그 이후 서서히 기세가 꺾여 느릿느릿 바다에 다다르면 수면 아래로 서서히 침잠한다. 산정부근은 가파르고 바닷가에 이르면 기세는 조용히 잦아든다. 한라산체 오른쪽에 포인트 하나 찍어 놓고 있으니 성산일출봉이다. 일출의 희망을 담기위해 오르는 거성, 아흔아홉개의 봉우리, 제주의 화룡점정(畵龍點睛)이 […]